📖
[Javascript] 명령어 return
페이지 정보
본문
return은 JavaScript에서 함수의 실행을 종료하고, 특정 값을 함수 외부로 반환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 이를 통해 함수가 어떤 값을 계산하고 그 값을 호출한 곳에 반환할 수 있습니다. return은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, 함수의 결과를 다른 코드로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.
return의 기본 구조[code]function exampleFunction() {
return value; // 값을 반환
}[/code]
1. return의 기능
함수 종료: return 명령어가 실행되면 함수는 즉시 종료됩니다.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
값 반환: return 뒤에 오는 값은 함수의 결과값으로 호출한 곳에 반환됩니다. 반환값이 없다면,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2. return 예시[code]function add(a, b) {
return a + b; // 두 값을 더한 결과를 반환
}
let result = add(3, 5); // 8이 result에 할당됨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8[/code]위 코드에서 add 함수는 두 숫자를 더한 값을 반환하고, 그 결과는 result 변수에 저장됩니다.
3. return과 함수 종료
return은 함수가 결과값을 반환하는 동시에 실행을 종료시킵니다. 즉, return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[code]function test() {
console.log("Start");
return; // 함수 종료
console.log("End"); // 실행되지 않음
}
test(); // "Start"만 출력됨[/code]
4. return 없이 함수 종료
return 없이 함수가 끝날 경우, 기본적으로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[code]function noReturn() {
console.log("This function has no return statement.");
}
let result = noReturn(); // return이 없으면 undefined 반환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undefined[/code]
5. return으로 객체 또는 배열 반환
return을 사용하여 객체나 배열을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.[code]function getPerson() {
return { name: "Alice", age: 30 };
}
let person = getPerson();
console.log(person.name); // 출력: Alice
console.log(person.age); // 출력: 30[/code]
6. return과 함수 표현식
함수 표현식에서도 retur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[code]const multiply = function(a, b) {
return a * b; // 두 숫자의 곱을 반환
};
let result = multiply(4, 5);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20[/code]
7. return으로 여러 값 반환하기
자바스크립트는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지만, 객체나 배열을 사용하여 여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[code]function getCoordinates() {
return { x: 10, y: 20 }; // 객체로 여러 값 반환
}
let coords = getCoordinates();
console.log(coords.x); // 출력: 10
console.log(coords.y); // 출력: 20[/code]또는 배열로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.[code]function getCoordinates() {
return [10, 20]; // 배열로 여러 값 반환
}
let [x, y] = getCoordinates();
console.log(x); // 출력: 10
console.log(y); // 출력: 20[/code]
8. return을 사용한 조건문
조건문 내에서 return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에서만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[code]function checkNumber(num) {
if (num < 0) {
return "Negative number"; // 음수일 때 반환
}
return "Positive number"; // 양수일 때 반환
}
console.log(checkNumber(-5)); // 출력: Negative number
console.log(checkNumber(5)); // 출력: Positive number[/code]
return;, return true;, return false;는 모두 return 명령어를 사용하지만, 반환하는 값과 함수의 종료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. 각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9. return; (값 없이 반환)[code]function noReturnValue() {
return; // 값 없이 반환
}
let result = noReturnValue();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undefined[/code]return;은 값을 명시하지 않고 return만 사용한 경우입니다.
이 경우 함수는 종료되고, **undefined**가 자동으로 반환됩니다.
반환값을 명시적으로 작성하지 않으면 JavaScript는 함수가 아무 값도 반환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undefined를 반환합니다.
10. return true; (Boolean true 반환)[code]function isEven(number) {
if (number % 2 === 0) {
return true; // 숫자가 짝수이면 true 반환
}
return false; // 숫자가 홀수이면 false 반환
}
console.log(isEven(4)); // 출력: true
console.log(isEven(5)); // 출력: false[/code]return true;는 함수가 true 값을 반환할 때 사용됩니다.
이 값은 주로 조건이 **참(true)**일 때 반환됩니다.
예시에서는 isEven 함수가 숫자가 짝수일 때 true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.
11 return false; (Boolean false 반환)[code]function isOdd(number) {
if (number % 2 !== 0) {
return false; // 숫자가 홀수이면 false 반환
}
return true; // 숫자가 짝수이면 true 반환
}
console.log(isOdd(3)); // 출력: false
console.log(isOdd(6)); // 출력: true[/code]return false;는 함수가 false 값을 반환할 때 사용됩니다.
이 값은 주로 조건이 **거짓(false)**일 때 반환됩니다.
예시에서는 isOdd 함수가 숫자가 홀수일 때 false를 반환하고, 짝수일 때 true를 반환합니다.
요약
return 은 함수가 값을 반환하고, 함수 실행을 종료하는 데 사용됩니다.
return 뒤에는 값을 넣을 수 있으며, 없으면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return은 함수 내에서 한 번만 실행됩니다. return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
반환값은 객체나 배열을 사용하여 여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
return; 함수는 종료되며, 아무 값도 반환하지 않으므로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return true; 함수가 true라는 Boolean 값을 반환합니다.
return false; 함수가 false라는 Boolean 값을 반환합니다.
이 세 가지 형태의 return은 각기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며, 주로 조건문과 함께 사용되어 함수의 실행 결과를 제어하거나 반환값을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렇게 return을 통해 함수의 실행 결과를 다룰 수 있습니다.
return의 기본 구조[code]function exampleFunction() {
return value; // 값을 반환
}[/code]
1. return의 기능
함수 종료: return 명령어가 실행되면 함수는 즉시 종료됩니다.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
값 반환: return 뒤에 오는 값은 함수의 결과값으로 호출한 곳에 반환됩니다. 반환값이 없다면,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2. return 예시[code]function add(a, b) {
return a + b; // 두 값을 더한 결과를 반환
}
let result = add(3, 5); // 8이 result에 할당됨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8[/code]위 코드에서 add 함수는 두 숫자를 더한 값을 반환하고, 그 결과는 result 변수에 저장됩니다.
3. return과 함수 종료
return은 함수가 결과값을 반환하는 동시에 실행을 종료시킵니다. 즉, return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[code]function test() {
console.log("Start");
return; // 함수 종료
console.log("End"); // 실행되지 않음
}
test(); // "Start"만 출력됨[/code]
4. return 없이 함수 종료
return 없이 함수가 끝날 경우, 기본적으로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[code]function noReturn() {
console.log("This function has no return statement.");
}
let result = noReturn(); // return이 없으면 undefined 반환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undefined[/code]
5. return으로 객체 또는 배열 반환
return을 사용하여 객체나 배열을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.[code]function getPerson() {
return { name: "Alice", age: 30 };
}
let person = getPerson();
console.log(person.name); // 출력: Alice
console.log(person.age); // 출력: 30[/code]
6. return과 함수 표현식
함수 표현식에서도 retur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[code]const multiply = function(a, b) {
return a * b; // 두 숫자의 곱을 반환
};
let result = multiply(4, 5);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20[/code]
7. return으로 여러 값 반환하기
자바스크립트는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지만, 객체나 배열을 사용하여 여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[code]function getCoordinates() {
return { x: 10, y: 20 }; // 객체로 여러 값 반환
}
let coords = getCoordinates();
console.log(coords.x); // 출력: 10
console.log(coords.y); // 출력: 20[/code]또는 배열로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.[code]function getCoordinates() {
return [10, 20]; // 배열로 여러 값 반환
}
let [x, y] = getCoordinates();
console.log(x); // 출력: 10
console.log(y); // 출력: 20[/code]
8. return을 사용한 조건문
조건문 내에서 return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에서만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[code]function checkNumber(num) {
if (num < 0) {
return "Negative number"; // 음수일 때 반환
}
return "Positive number"; // 양수일 때 반환
}
console.log(checkNumber(-5)); // 출력: Negative number
console.log(checkNumber(5)); // 출력: Positive number[/code]
return;, return true;, return false;는 모두 return 명령어를 사용하지만, 반환하는 값과 함수의 종료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. 각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9. return; (값 없이 반환)[code]function noReturnValue() {
return; // 값 없이 반환
}
let result = noReturnValue();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undefined[/code]return;은 값을 명시하지 않고 return만 사용한 경우입니다.
이 경우 함수는 종료되고, **undefined**가 자동으로 반환됩니다.
반환값을 명시적으로 작성하지 않으면 JavaScript는 함수가 아무 값도 반환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undefined를 반환합니다.
10. return true; (Boolean true 반환)[code]function isEven(number) {
if (number % 2 === 0) {
return true; // 숫자가 짝수이면 true 반환
}
return false; // 숫자가 홀수이면 false 반환
}
console.log(isEven(4)); // 출력: true
console.log(isEven(5)); // 출력: false[/code]return true;는 함수가 true 값을 반환할 때 사용됩니다.
이 값은 주로 조건이 **참(true)**일 때 반환됩니다.
예시에서는 isEven 함수가 숫자가 짝수일 때 true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.
11 return false; (Boolean false 반환)[code]function isOdd(number) {
if (number % 2 !== 0) {
return false; // 숫자가 홀수이면 false 반환
}
return true; // 숫자가 짝수이면 true 반환
}
console.log(isOdd(3)); // 출력: false
console.log(isOdd(6)); // 출력: true[/code]return false;는 함수가 false 값을 반환할 때 사용됩니다.
이 값은 주로 조건이 **거짓(false)**일 때 반환됩니다.
예시에서는 isOdd 함수가 숫자가 홀수일 때 false를 반환하고, 짝수일 때 true를 반환합니다.
요약
return 은 함수가 값을 반환하고, 함수 실행을 종료하는 데 사용됩니다.
return 뒤에는 값을 넣을 수 있으며, 없으면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return은 함수 내에서 한 번만 실행됩니다. return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
반환값은 객체나 배열을 사용하여 여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.
return; 함수는 종료되며, 아무 값도 반환하지 않으므로 undefined가 반환됩니다.
return true; 함수가 true라는 Boolean 값을 반환합니다.
return false; 함수가 false라는 Boolean 값을 반환합니다.
이 세 가지 형태의 return은 각기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며, 주로 조건문과 함께 사용되어 함수의 실행 결과를 제어하거나 반환값을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렇게 return을 통해 함수의 실행 결과를 다룰 수 있습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![]() ![]() |